그렇다고 해서 다른 요인들을 무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조선 정부는 떠 넣어준 밥도 제대로 먹지 못했다는 것이다.정상적 근대화의 길이 아니었다. 이들은 동아시아와는 너무나 다른 유럽보다는 일본을 모델로 해서 근대적인 개혁을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미국의 전 대통령이자 남북전쟁의 영웅이었던 그랜트의 중재조차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해 류큐를 통째로 일본에 넘겨주었던 중국의 지도자 리훙장은 위안스카이를 파견하여 조선의 내정에 직접 개입하였고.무엇보다도 시모노세키 조약의 1조는 이러한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그러나 과연 당시의 상황에 대해서 정확히 인식을 하면서 논쟁이 진행되었는지 의문이다.한국 역사학계에서 사회적 관심을 끄는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에서 논쟁이 시작되었으니 감사하다고 해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 김옥균의 생각은 루쉰의 생각과 다르지 않았다. 19세기 말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시대였다.수백 년 간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대가 열리면서 근대화에 실패한 청과 조선이 몰락했고. 대신 세계무역기구나 국제통화기금의 규칙을 따르면서 미국이 중심이 된 안보체제 안에 있어야 하는 조건이 있었다.강화도 조약 이후 갑신정변과 갑오개혁에 대한 개입. 이러한 이슈가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학계의 논쟁이 살아나야 한다.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조선 식민지화에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는가. |
Flinks
Links